Related Reading
Search Clinical Content Search Health Library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Z Listings

건강한 아기 건강 검진: 최대 1개월

첫 신생아 진료 후, 생후 1개월 이내에 건강 검진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건강 검진에서는 의사가 아기를 검진하고 집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물어봅니다. 여기서는 아기 검진에 대비해 유용한 정보를 설명합니다.

발달 및 지표

의사는 아기에 대해 여러 가지 질문을 합니다. 의사는 아기의 발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아기를 관찰합니다. 이 검진 시점이 되면 아기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시작하게 될 수 있습니다:

  • 명확한 이유 없이 미소를 짓습니다("자연스러운 미소")

  • 부모의 얼굴 바라봅니다

  • 울지 않고 소리 냅니다

  • 머리를 들려고 합니다

  • 양손을 입으로 가져옵니다

  • 팔과 다리를 둘 다 움직입니다

  • 매우 큰 소리에 반응합니다

  •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수유 요령

생후 약 2주가 되면 아기가 출생 시 체중으로 돌아갑니다. 아기에게 계속해서 모유나 분유를 먹입니다. 아기가 잘 먹도록 하려면:

  • 아기는 원하는 양 만큼, 원하는 만큼 오래 먹이세요. 하루 최소 8~12회 수유해야 합니다. 수유 시간이 서로 가깝게 붙을 수도 있는데(연속 다발 수유), 그런 경우 아기가 몇 시간 동안 쉴 수도 있습니다. 아기는 원하는 만큼 오래 먹게 두세요. 충분히 먹고 나면 아기가 삼키기를 멈추고 손에 힘이 풀리면서 잠이 듭니다. 

  • 밤에는 아기가 깼을 때 먹이면 되는데 보통 3~4시간마다 깹니다. 선택에 따라 야간 수유를 위해 아기를 깨우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담당 의사와 상의해 보세요.

  • 수유는 한 번에 약 15~20분 정도 걸립니다. 병으로 먹이는 경우 아기에게 먹이는 분유난 모유량을 서서히 늘립니다. 생후 1개월이 되면 대부분 아기들은 한 번에 4온스(약 120ml) 정도 먹지만 아기에 따라 다릅니다.

  • 아기가 먹는 양이나 빈도와 관련해 걱정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담당 의사와 상의하세요.

  • 아기에게 비타민 D를 먹여야 할지 의사와 상의해 보세요. 아기에게 대부분 또는 전부 모유 수유를 하는 경우 분유를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아기에게 모유 또는 분유 외에는 아무것도 먹이지 마세요. 아직 고체 음식(고형식)이나 다른 액체를 먹기에는 너무 어립니다. 이 나이의 유아에게는 물을 먹일 필요가 없습니다.

  • 생후 1개월 아기는 먹고 나서 토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아 두세요. 이는 대부분의 경우 정상입니다. 아기가 너무 자주 토하거나 세차게 토하는 경우, 모유나 분유 외에 다른 것을 토해내는 경우 즉시 담당 의사에게 전화하세요.

위생 관리 팁

  • 아기들 중에는 하루에 똥(배변)을 여러 차례 누는 아기들도 있습니다. 또는 2~3일에 한 번씩 누는 아기들도 있습니다. 이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는 모두 정상입니다. 기저귀가 젖거나 더러워지면 갈아주세요.

  • 아기가 그 외는 건강하다면 2~3일에 한 번보다 더 드물게 누더라도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드물게 누면서 동시에 칭얼대면서 가만히 있지 못하거나, 평상시보다 더 많이 토하거나, 평상시보다 적게 먹거나, 변이 심하게 딱딱한 경우 담당 의사와 상의하세요. 아기가 변비일 수 있습니다. 변비는 아기가 배변을 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 변 색은 겨자 노랑색부터 갈색이나 녹색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변이 그 외에 다른 색인 경우 담당 의사에게 얘기하세요.

  • 아기는 일주일에 3~4회 정도 목욕시킵니다. 아기가 즐기는 것 같으면 더 자주 시켜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기저귀를 갈 때마다 아기를 닦아주기 때문에 목욕을 매일 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탯줄이 떨어질 때까지는 아기를 스펀지로 닦아주세요(스펀지 목욕). 보통은 출산 후 1~2주 정도입니다.

  • 아기 피부에 순한(저자극성) 크림이나 로션을 발라주어도 괜찮습니다. 아기의 손에는 로션을 바르지 마세요.

수면 팁

이 나이에는 아기가 매일 18~20시간까지 잘 수 있습니다. 아기가 한 번에 몇 시간씩 자기 보다는 하루 종일에 걸쳐 짧게 자고 깨는 것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후 6시부터 9시 사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잠투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정상입니다. 아기가 안전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요령:

  • 아기가 생후 1세가 될 때까지 낮잠이나 밤잠 잘 때는 항상 등을 대고 눕는 자세로 재우도록 하세요. 그러면 SIDS(유아돌연사증후군), 흡인 및 숨 막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밤잠이나 낮잠을 재울 때 절대 옆으로 눕히거나 엎드려 재우지 마세요. 아기가 깨면, 엄마나 아빠가 계속 지켜보고 있기만 하다면 깨어 있는 동안 엎드려서 놀게 두셔도 됩니다. 엎드린 자세는 아기의 배와 목 근육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면 아기의 뒤통수가 평평해지는 것을 막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아기가 누운 자세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 뒤통수가 평평해질 수 있습니다.

  • 아기는 단단하고 평평한 매트리스 또는 기울어지지 않은 수면용 바닥에서 자야 합니다. 시트로 매트리스를 덮으십시오. 푹신한 담요나 이불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물침대, 에어 매트리스, 소파, 안락의자, 양가죽, 베개 또는 기타 부드러운 소재 위에서 아기를 재우지 마십시오. 이 경우 SIDS를 포함해 아기 사망 위험이 훨씬 더 높아집니다.

  • 아기에게 공갈젖꼭지를 물려서 재워야 할지 담당 의사에게 물어보세요. 공갈젖꼭지를 물고 자면 SIDS 발생 위험이 줄어든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모유 수유 습관이 완전히 자리잡기 전까지는 물려보려고 하지 마세요. 아기가 공갈젖꼭지를 원하지 않으면 강제로 물리려고 하지 마세요.

  • 아기침대 안에 완충 패드나 쿠션, 무거운 담요, 장난감, 봉제인형을 넣지 마세요. 아기가 질식할 수 있습니다.

  • 평상시 밤잠이나 낮잠 재울 때 아기 의자, 카시트, 유모차, 유아용 캐리어, 또는 유아용 그네에 앉혀 재우지 마세요. 아기의 기도가 막히거나 아기가 숨막힐 수 있습니다.

  • 아기를 담요로 감싸는 것(스와들링)은 아기가 안전하다고 느끼고 잠들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양 다리는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아기가 뒤집기를 배우고 나면 스와들링은 그만 합니다.

  • 아기가 깨어 있는 상태로 침대에 눕혀도 됩니다. 또한 아기가 침대에서 울게 두어도 괜찮지만 몇 분을 넘기면 안 됩니다. 이 나이의 아기들은 아직 “울다가 잠들”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 아기를 재우는 것이 힘든 경우 담당 의사에게 조언을 구하세요.

  • 아기와 침대를 공유하지 마십시오. 한 침대에서 같이 자는 경우 SIDS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습니다. AAP(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미국소아과학회)는 아기를 부모와 같은 방에서 재워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부모 침대 가까이에서 재우되 별도의 침대 또는 유아용 침대에 재울 것을 권장합니다. 가능하면 아기 생후 첫 1년간은 이렇게 재워야 합니다. 하지만 힘들면 최소 첫 6개월 동안이라도 이렇게 해야 합니다.

  • 유아용 침대, 아기 바구니, 놀이 공간은 항상 위험 요소가 전혀 없는 공간에 두어야 합니다. 즉, 매달린 전기 코드, 전선 또는 창문 덮개 등이 없어야 합니다. 그래야 목이 졸릴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아기 심박수와 모니터, 또는 SIDS 위험을 줄여주는 특수 기구를 사용하지 마세요. 이런 기구에는 웨지, 포지셔너, 특수 매트리스 등이 포함됩니다. 이런 기구들은 SIDS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된 바 없습니다. 이런 기구들은 드물지만 오히려 유아 사망을 초래한 것으로 확인된 바 있습니다.

  • 이런 기구나 그 외 다른 건강 및 안전 문제와 관련한 문제는 아기의 담당 의사와 상의해 보세요.

안전 팁

아기를 유모차에 안전하게 태우는 여성.
아기를 데리고 외출하는 것은 괜찮습니다. 장시간 햇볕에 노출시키거나 병균이 퍼질 수 있는 북적이는 장소는 피합니다.

  • 화상을 예방하려면 아기 가까이로 커피 같이 뜨거운 액체를 가져가거나 근처에서 마시지 마세요. 온수 온도는 120°F(49°C) 이하로 낮추세요.

  • 아기 옆에서는 흡연하지 말고 전자담배도 흡연하게 못하게 하세요. 어느 누구도 아기 옆에서는 흡연하지 말고 전자담배도 흡연하게 못하게 하세요. 가족 중에 흡연자가 있는 경우 흡연자는 재킷을 입고 밖에서 담배 또는 전자담배를 피운 다음, 들어오면 재킷을 벗고 나서 아기를 안도록 하세요.

  • 신생아를 집 밖으로 데리고 나가는 것은 보통 괜찮습니다. 하지만 세균이 전염될 수 있는 폐쇄되고 혼잡한 장소는 피하도록 합니다.

  • 아기를 밖으로 데리고 나가는 경우 너무 오래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아기는 항상 덮어주거나 그늘에 머물도록 합니다. 

  • 차 안에서는 아기를 항상 뒤를 바라보고 앉는 카시트에 태우고 5점식 안전벨트 버클로 아기가 올바르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카시트는 방향에 맞게 뒷자리에 안전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절대 아기를 혼자 차 안에 두고 내리지 마세요.

  • 아기를 테이블이나 침대, 소파 같은 높은 곳에 혼자 두지 마세요. 떨어져서 다칠 수 있습니다.

  • 큰아이가 아기를 앉거나, 같이 놀거나, 친해지고 싶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른이 지켜보고 있다면 그렇게 해도 무방합니다.

  • 집에 곰팡이와 라돈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절대 아기를 세게 흔들지 마세요. 아기의 뇌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울고 엄마가 피곤해하거나 좌절감을 느끼거나 심지어 화를 내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기를 침대에 눕히고 스스로 휴식을 취하거나 가족이나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입니다.

  • 파트너로 인해 상처를 받았다면 도움을 구하세요. 전국 가정폭력 핫라인(800-799-7233 또는 88788로 문자 메시지 보내기) 및 기타 기관에서 기밀 도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생활비나 식비가 걱정된다면 WIC(여성, 유아, 아동을 위한 특별 영양보충 프로그램)SNAP(영양보충 지원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확인해 보세요. 도움과 정보를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 아기가 열이 나는 경우 담당 의사에게 연락하세요(아래 “발열과 아기” 참조).

백신

CDC 권고에 따라, 병원에서 출생 후 아직 접종 받지 않은 경우 이번 검진 중에 B형 간염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기는 니르세비맙(nirsevimab)으로 유아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단클론 항체입니다. 이번 방문 시 어떤 접종이 권장되는지 아기의 담당 의사에게 문의하세요. 아기에게 필요한 백신 접종을 모두 마치면 SIDS 위험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발열과 아기

디지털 체온계를 사용해 아기의 체온을 측정합니다. 수은 체온계는 사용하지 마세요. 디지털 체온계에는 여러 가지 종류와 용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직장. 생후 3년 미만 아기의 경우 직장 온도가 가장 정확합니다.

  • 이마(관자놀이). 생후 3개월 이상 아이에게 적합합니다. 생후 3개월 미만인 아기에서 질병의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 일차적 체온 측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직장 체온 측정으로 정확한 체온을 확인할 겁니다.

  • 귀(고막). 귀 온도는 생후 6개월 이후에는 정확하지만 그 이전에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 겨드랑이(엽액). 가장 신뢰도가 낮은 방법이지만 나이에 관계 없이 아이에게서 질병의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 일차적 체온 측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직장 체온 측정으로 정확한 체온을 확인할 겁니다.

  • 입(구강). 아이가 최소 생후 4년이 되기 전까지는 입 안에 넣는 체온계를 사용하지 마세요.

직장 체온계는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합니다. 제품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합니다. 조심스럽게 삽입합니다. 모르고 입에 넣지 않도록 잘 보이게 라벨로 표시해 둡니다. 대변의 세균이 옮겨갈 수 있습니다. 직장 체온계 사용이 내키지 않는 경우 담당 의사에게 대신 사용 가능한 체온 측정 방법을 상의해 보세요. 아기의 발열에 대해 의사와 상의할 때는 어떤 종류의 체온계를 사용하는지 얘기해 주셔야 합니다.

아래는 아이가 열이 있는 경우 의사에게 연락해야 할 때입니다. 담당 의사가 다른 수치를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지침을 따르십시오.

자녀의 담당 의료진에게 연락해야 할 때

생후 3개월 미만 아기:

  • 먼저, 아기의 담당 의사에게 체온 측정 방법을 물어봅니다.

  • 직장 또는 이마: 100.4°F(38°C) 이상

  • 겨드랑이: 99°F(37.2°C) 이상

  • 의료진이 잰 체온이 _____________

산후 우울증 징후

출산 직후에는 슬픈 기분이 들고 피곤한 것이 정상입니다. 이런 감정은 약 1~2주일 후면 사라집니다. 일주일 후에도 계속 같은 느낌이 지속되는 경우 더 심각한 문제인 산후 우울증 징후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깊은 슬픔

  • 체중이 크게 늘거나 줄어듦

  • 너무 많이 자거나 너무 적게 자는 것

  • 항상 피곤한 느낌

  • 가만히 있지 못함

  • 쓸모없다는 느낌 또는 죄책감

  • 누군가 아기를 해칠 수 있다는 두려움

  • 자신이 나쁜 부모라는 걱정

  • 또렷하게 생각하거나 의사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죽음 또는 자살에 대한 생각

이러한 증상 중 어느 하나라도 나타나는 경우 담당 산부인과 전문의 또는 다른 의사와 상의하세요.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검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부모 메모란:

© 2000-2025 The StayWell Company, LLC. All rights reserved. This information is not intended as a substitute for professional medical care. Always follow your healthcare professional's instructions.
Powered by
Disclaimer